본문 바로가기
코딩테스트!(프로그래머스 & 백준)/프로그래머스-C++

코딩테스트--[1차] 뉴스 클러스터링(프로그래머스/C++)

by Lee_story_.. 2022. 4. 13.
728x90

이제부터 c++도 풀어보기로 했습니다!!

 

 

 

코딩테스트 연습 - [1차] 뉴스 클러스터링

뉴스 클러스터링 여러 언론사에서 쏟아지는 뉴스, 특히 속보성 뉴스를 보면 비슷비슷한 제목의 기사가 많아 정작 필요한 기사를 찾기가 어렵다. Daum 뉴스의 개발 업무를 맡게 된 신입사원 튜브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뉴스 클러스터링

여러 언론사에서 쏟아지는 뉴스, 특히 속보성 뉴스를 보면 비슷비슷한 제목의 기사가 많아 정작 필요한 기사를 찾기가 어렵다. Daum 뉴스의 개발 업무를 맡게 된 신입사원 튜브는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다양한 뉴스를 찾아볼 수 있도록 문제점을 개선하는 업무를 맡게 되었다.

개발의 방향을 잡기 위해 튜브는 우선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카카오 신입 개발자 공채" 관련 기사를 검색해보았다.

  • 카카오 첫 공채..'블라인드' 방식 채용
  • 카카오, 합병 후 첫 공채.. 블라인드 전형으로 개발자 채용
  • 카카오, 블라인드 전형으로 신입 개발자 공채
  • 카카오 공채, 신입 개발자 코딩 능력만 본다
  • 카카오, 신입 공채.. "코딩 실력만 본다"
  • 카카오 "코딩 능력만으로 2018 신입 개발자 뽑는다"

기사의 제목을 기준으로 "블라인드 전형"에 주목하는 기사와 "코딩 테스트"에 주목하는 기사로 나뉘는 걸 발견했다. 튜브는 이들을 각각 묶어서 보여주면 카카오 공채 관련 기사를 찾아보는 사용자에게 유용할 듯싶었다.

유사한 기사를 묶는 기준을 정하기 위해서 논문과 자료를 조사하던 튜브는 "자카드 유사도"라는 방법을 찾아냈다.

자카드 유사도는 집합 간의 유사도를 검사하는 여러 방법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두 집합 A, B 사이의 자카드 유사도 J(A, B)는 두 집합의 교집합 크기를 두 집합의 합집합 크기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집합 A = {1, 2, 3}, 집합 B = {2, 3, 4}라고 할 때, 교집합 A ∩ B = {2, 3}, 합집합 A ∪ B = {1, 2, 3, 4}이 되므로, 집합 A, B 사이의 자카드 유사도 J(A, B) = 2/4 = 0.5가 된다. 집합 A와 집합 B가 모두 공집합일 경우에는 나눗셈이 정의되지 않으니 따로 J(A, B) = 1로 정의한다.

자카드 유사도는 원소의 중복을 허용하는 다중집합에 대해서 확장할 수 있다. 다중집합 A는 원소 "1"을 3개 가지고 있고, 다중집합 B는 원소 "1"을 5개 가지고 있다고 하자. 이 다중집합의 교집합 A ∩ B는 원소 "1"을 min(3, 5)인 3개, 합집합 A ∪ B는 원소 "1"을 max(3, 5)인 5개 가지게 된다. 다중집합 A = {1, 1, 2, 2, 3}, 다중집합 B = {1, 2, 2, 4, 5}라고 하면, 교집합 A ∩ B = {1, 2, 2}, 합집합 A ∪ B = {1, 1, 2, 2, 3, 4, 5}가 되므로, 자카드 유사도 J(A, B) = 3/7, 약 0.42가 된다.

이를 이용하여 문자열 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문자열 "FRANCE"와 "FRENCH"가 주어졌을 때, 이를 두 글자씩 끊어서 다중집합을 만들 수 있다. 각각 {FR, RA, AN, NC, CE}, {FR, RE, EN, NC, CH}가 되며, 교집합은 {FR, NC}, 합집합은 {FR, RA, AN, NC, CE, RE, EN, CH}가 되므로, 두 문자열 사이의 자카드 유사도 J("FRANCE", "FRENCH") = 2/8 = 0.25가 된다.

입력 형식

  • 입력으로는 str1과 str2의 두 문자열이 들어온다. 각 문자열의 길이는 2 이상, 1,000 이하이다.
  • 입력으로 들어온 문자열은 두 글자씩 끊어서 다중집합의 원소로 만든다. 이때 영문자로 된 글자 쌍만 유효하고, 기타 공백이나 숫자, 특수 문자가 들어있는 경우는 그 글자 쌍을 버린다. 예를 들어 "ab+"가 입력으로 들어오면, "ab"만 다중집합의 원소로 삼고, "b+"는 버린다.
  • 다중집합 원소 사이를 비교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의 차이는 무시한다. "AB"와 "Ab", "ab"는 같은 원소로 취급한다.

출력 형식

입력으로 들어온 두 문자열의 자카드 유사도를 출력한다. 유사도 값은 0에서 1 사이의 실수이므로, 이를 다루기 쉽도록 65536을 곱한 후에 소수점 아래를 버리고 정수부만 출력한다.

 


문제는 2글자씩 잘라서 비교하는 문제! 로 그렇게 복잡한 알고리즘은 필요하지 않은거 같습니다!

 

지켜야할 규칙?

1. 2글자씩 자르는데 알파벳이 아니면 버림;

 

2. 교집합/합집합*65536 의 정수부분만 출력!

 

시작!

 

일단 글자를 2글자씩 잘라줍시다.

 

저는 벡터를 2개 만들어서 잘라준걸 저장해놓기로 했습니다.

	string memo="";
    vector<string>memo1;
    vector<string>memo2;

 

 

이제 for문으로 돌리는데 여기서 isalpha함수 --> 알파벳인지 확인하는 함수

저 함수로 판별해주었습니다.

 

이제 알파벳이면 memo에 저장되고

숫자나 기호가 나오면 memo를 초기화

memo의 길이가 2가 되면 벡터로 이동!

 

(여기서 방금 들어갔던 글자는 memo에 다시 저장하셔야됩니다!!)

 

	
    //첫번째 문자열
    for(int i=0;i<str1.length();i++){
        if(isalpha(str1[i])){
            str1[i]=toupper(str1[i]);
            memo+=str1[i];
        }
        else{
           memo="";
        }
        if(memo.length()==2){
            memo1.push_back(memo);
            memo=str1[i];//// 중요!! 다시저장
        }
    }
    
    memo="";
    
    
     //두번째 문자열
    for(int i=0;i<str2.length();i++){
        if(isalpha(str2[i])){
            str2[i]=toupper(str2[i]);
            memo+=str2[i];
        }
        else{
           memo="";
        }
        if(memo.length()==2){
            memo2.push_back(memo);
            memo=str2[i];
        }
    }

두 문자열 똑같이 해주시면 됩니다.(이 부분은 함수로 만들면 좀더 짧아지겠네요)

 

이제 탐색!

하기 전에 합집합= 전체-교집합 이기 때문에

 count=memo1.size()+memo2.size();

길이를 count에 저장저장

 

 

그리고 계속 제거하고 더해주고 할꺼라서 while로 탐색해볼께요

 

탐색방법은

index1을 기준으로  index2를 움직이며

index2가 memo2의 끝에 도달할시 index1을 증가, index2를 0,처음으로 보내는 일반탐색

 

조금만 생각하시면 이해하실꺼에요

 

그렇게 탐색을 하다가 같은 문자열을 만나면 memo3(교집합만 모을 벡터)에 추가하고 memo1,2에선 제거해줍시다.

 

    int index1=0;
    int index2=0;
    
    
    while(1){
        if(index1==memo1.size()){
            break;
        }
        
        if(memo1[index1]==memo2[index2]){
            memo3.push_back(memo1[index1]);
            memo1.erase(memo1.begin()+index1);
            memo2.erase(memo2.begin()+index2);
        }
        else{
            
            if(index2==memo2.size()){
                index2=0;
                index1+=1;
            }
            else{
                index2+=1;
            }
            
        }
    }

 

그런데 여기서 첫번째... 실수.. 혹시 찾으셨나요...

 

탐색 도중에 같은 문자열을 만났을때 index처리를 안해줘도 될 것 같았는데 생각해보니

 

memo[index1]자리에 있던 문자는 삭제되어 index값을 그대로 두어도 다음 문자가 탐색되는데

index2는 새로운 memo[index1]를 비교해야 하기에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탐색을 시켜야했습니다...

이해 되셨나요? 제가 멍청했네요;

 

if(memo1[index1]==memo2[index2]){
            memo3.push_back(memo1[index1]);
            memo1.erase(memo1.begin()+index1);
            memo2.erase(memo2.begin()+index2);
            index2=0;
        }

 if 부분에 index2초기화만 넣어주면 되겠네요

 

이제 출력만 하면 되겠네요.. 전에 5/0같은 경우를 제거 해주셔야되요--- 아니면 오류나요..

if (memo1.size()+memo2.size()==0){
        return 65536;
    }
    
    count=count-memo3.size();
    answer=floor((memo3.size()*65536/count));
    
    return answer;

 

이제 진짜 끝! 

 

 

All

#include <string>
#include<iostream>
#include<vector>
#include<cmath>
using namespace std;

int solution(string str1, string str2) {
    int answer = 0;
    string memo="";
    int count=0;
    
    vector<string>memo1;
    vector<string>memo2;
    vector<string>memo3;
    
    for(int i=0;i<str1.length();i++){
        if(isalpha(str1[i])){
            str1[i]=toupper(str1[i]);
            memo+=str1[i];
        }
        else{
           memo="";
        }
        if(memo.length()==2){
            memo1.push_back(memo);
            memo=str1[i];
        }
    }
    
    memo="";
    
    for(int i=0;i<str2.length();i++){
        if(isalpha(str2[i])){
            str2[i]=toupper(str2[i]);
            memo+=str2[i];
        }
        else{
           memo="";
        }
        if(memo.length()==2){
            memo2.push_back(memo);
            memo=str2[i];
        }
    }
    
    count=memo1.size()+memo2.size();
    int index1=0;
    int index2=0;

    
    while(1){
        if(index1==memo1.size()){
            break;
        }
        
        if(memo1[index1]==memo2[index2]){
            memo3.push_back(memo1[index1]);
            memo1.erase(memo1.begin()+index1);
            memo2.erase(memo2.begin()+index2);
            index2=0;
        }
        else{
            
            if(index2==memo2.size()){
                index2=0;
                index1+=1;
            }
            else{
                index2+=1;
            }
            
        }
    }
    
    if (memo1.size()+memo2.size()==0){
        return 65536;
    }
    
    count=count-memo3.size();
    answer=floor((memo3.size()*65536/count));
    
    return answer;
}

 

 

틀린 점이 있다면 댓 달아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