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에 이어 이번에는 R Studio를 사용해보려합니다.
이전에 설치했던 CRAN과는 좀 다르게, 편의성에 중점을 둔 툴로써
가볍게 사용할 저?같은 분들에게는 큰 도움이 될것같습니다!
그럼 시작!
R Studio란?
RStudio는 R 프로그래밍 언어를 더 쉽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무료 통합 개발 환경(IDE)입니다.
R 자체는 콘솔 기반 언어이기 때문에, 코드 작성과 실행, 결과 확인이 다소 불편한데,
RStudio는 코드 편집기, 실행 창, 플롯, 데이터 뷰어 등을 하나의 화면에 통합하여
R 사용을 훨씬 더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만들어줍니다.
그럼 R Studio가 무조건 좋은거 아닌가...? 왜 CRAN을 사용하지? 라고 생각이 드는데...
각각 다음과 같은 장단점이 있어 이를 생각하며, 사용해야한다고 합니다.
프로그램 | 장점 | 단점 |
CRAN |
|
|
R Studio |
|
|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RStudio와 CRAN를 조합하여 사용한다고 합니다!
R Studio 설치!
그럼 이제 R Studio를 설치해보겠습니다.
해당 공식 사이트는 아래로!
Posit
The best data science is open source. Posit is committed to creating incredible open-source tools for individuals, teams, and enterprises.
posit.co
사이트에 접속해서 상단에 open source 클릭, 아래에 DOWNLOAD RSTUDIO 클릭!
클릭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나오게 되고,
여기서 서버가 아닌 rstudio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R을 설치해야 진행 할 수 있다고 뜹니다.
아직 R을 설치하지 않으셨다면, 아래로 이동!
R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초 + CRAN프로그램 설치 및 시각화 예제까지
이번엔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고 있는데, 파이썬으로 진행을 하다가 한계에 부딪혀서.... 이번엔 R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번글에서는!통계 분석과 데이터 시각화에 특화된 프로그래
ljhyunstory.tistory.com
그리고 마저 설치버튼을 누르고, 설치를 진행해줍시다.
이제 설치된 RStudio를 실행해주고,
설치된 R를 선택하라는 창이 뜨는데, 이전글의 과정대로 R을 설치하셨다면,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자동으로 맞춰져, ok를 누르기만 하면 됩니다!
실행하면 창은 아래와 같습니다.
접속하자마자, 아래에서 show all panes를 누르면
이렇게 4개의 구역으로 창이 나뉘게 됩니다.
각각의 창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섹션 | 기능 |
Source | 스크립트(.R), 노트북(.Rmd), 함수 작성 등 코드 편집 |
Console | R 명령어를 직접 입력해 실행 |
Environment / History | 현재 변수 목록, 함수, 작업 기록 등 확인 |
Plots / Files / Packages / Help | 시각화 결과, 파일 탐색, 패키지 관리, 도움말 보기 등 |
여기까지 설치 끝!
이제 사용법
R Studio 사용!
먼저 세팅부터 해줍시다. Tools -> Global Options
Default working directory를 설정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디렉토리를 선택해줍시다.
추가로 해당 화면에 대한 글꼴, 크기, 색 테마 등을 변경할 수도 있으니까,
편하신대로 커스터마이징까지 하면 세팅은 끝!
굳굳...
사용법자체는 CRAN과 다르지 않습니다.
CRAN에서 install 했던것처럼 콘솔에서 패키지를 설치하고,
한줄한줄 코드를 작성했던것 처럼 Source섹션에서 코드를 작성해 주면됩니다.
이전과 동일한 예제를 가지고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library(dplyr)
library(ggplot2)
# 데이터 전처리
iris_summary <- iris %>%
group_by(Species) %>%
summarise(avg_length = mean(Sepal.Length))
# 시각화
ggplot(iris_summary, aes(x = Species, y = avg_length)) + geom_col(fill = "lightblue")
일단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콘솔 창에서 install해주고 (자동완성 굳굳)
아래와 같이 작성해줍시다.
그다음 우측상단에 Run이라는 버튼이 있는데, 이걸 누르면 코드가 실행! 되긴하는데
일반적으로는 커서가 위치한 곳의 코드줄이 실행됩니다.
만약 전체를 실행하고 싶다면
아래처럼 코드를 드래그하고, 실행해주면 됩니다!
(단축키는 Ctrl + Enter)
실행을 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콘솔에서는 실행되는 과정을 볼수 있고,
하단의 plots를 이용해 시각화 된 화면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가 끝!
이제야 데이터분석.... 시작할수있겠네요 ㅎㅎ
사용하다가 새로운 부분이 나오게되면 이어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틀린점이 있다면 댓 달아주세요!

'공부공부 > 2025 쌓아가는 나의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깃허브 시작 사용법 및 로컬 디렉토리 GitHub에 업로드 + Git Desktop (0) | 2025.07.03 |
---|---|
[데이터 분석] 사용성 평가를 위한 Python, R을 이용한 정규성 검정(Normality Test) (1) | 2025.07.02 |
R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초 + CRAN프로그램 설치 및 시각화 예제까지 (0) | 2025.06.30 |
Bio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툴 제작 (2) (0) | 2025.06.04 |
[React] 환경 구축 & Visual Code 연동 (0) | 2025.05.28 |
댓글